ma6200 전원부엔 프리앰프단 OP-AMP에 사용될 전원(+18V,-18V)이 500mA 용량을 가진 제너다이오드((1n5248B)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욘석의 출력 전원 변화폭이 크다 보니 깔끔한 전원을 얻기 무척 어렵습니다. 다시 말하면 좋은 전원은 좋은 음질과 직결되기 때문이죠. 고민하다, 1A 용량을 가지는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해서 개조를 했습니다. 정확하게 +18.3V, -18.1V 고정된 전압 나와주고 있습니다. 오리지널 제너다이오드에서는스펙에는 들어오지만 안정된 전원을 얻을 수가 없습니다. 그때 그때 조금씩 다릅니다. 오리지널 도면과, 수정된 도면 참고하시구요. 개조를 하시면 음질 변화폭이 스피커를 교체한듯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정말 정말 잘 했다는 생각입니다. ma6200 사..
Phono Preamp를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기존 프리단에서 사용하던 opamp IC와 Mill-Max 소켓으로 교체하고, 니치콘콘덴서와 저항일부 교체(후에 opa128sm으로 교체 해 볼 생각입니다.) 세라믹 바이패스 콘덴서는 아날로그 회로에 낮은 임피던스 전원을 타고 들어오는 잡음을 줄이는 용도라네요. 특히 입력 셀렉터를 돌려 포노단을 선택할 때 가끔 퍽퍽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포노단 전원노이즈 제거로 얻는 이득이 만만치 않을 듯 합니다. 우선은 임시로 (+)전원단에 해 놓은 건데 설 연휴기간 (-)전원단에도 추가할 생각입니다. 최종적으로 노이즈제거 완료된 사진입니다. 좌우채널에 해당하는 opamp 전원단(+,-)에 각각1개씩해도 되지만 그렇게 작업을 할 경우 각각의 채널에 차이가..
#mcintosh #mcintoshaudio#매킨토시#ma6200#맥킨토시기포#판넬기포 문화재 복원 과정입니다.** 먼저 결과사진입니다. 완벽하죠? 하지만 사진으로는 확인 불가능한 색상차이가 조금 있습니다. 아직 신삥이라 그런가 봅니다. 좀 시간이 지나 경화가 되면 색상이 같아지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 위 공기방물들이 생기는 원인은 아래 사진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조명빛 확산장치와 전면 유리페널 사진에 양면테이프로 고정을 해 둔곳에 문제가 발생됩니다. 아마도 양면테이프가 경화 수축 되면서 유리판 페인트를 잡아 당기나 봅니다. 과감하게 깔끔하게 모두 털어 버리세요. (사실 저도 털어 내면서 복원 못하면 어떻하지?? 하는 생각에....^ 조금은 떨림) 페인트 또는 잉크 등을 이용해서 찍어..
위 그림은 보드 후면이며, 그림 중간 흑색, 적색으로 측정 포인트 및 극성 표시 아래 동영상에서 적색 리드봉을 측정한 포인트는 확인이 가능하지만... 흑색 리드봉은 고정되어 보이지 않음 보드를 참고하여 흑색 리드봉을 고정해야함, 한 채널에 고정하고 두 채널(L/R) 모두 측정하게 되면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각 채널에 적색리드봉, 흑색 리드봉을 측정 포인트에서 측정해야함.(아래 동영상은 촬영을 위해 흑색 리드봉을 한 곳에 두고, 적색리드봉만 움직임) 또한 시간을 두고 여러차례 측정하고 조정하고 해야함(오차를 줄이기 위함) 만약 조정값들이 지속적으로 변경될 경우 가변트림포트(반고정저항)를 신품으로 교체해야 함 (100R 0.75W 이상)
Bias ADJ 방법 Q4 출력 트랜지스터 (드라이버 보드의 단자 # 15)의 에미터에 테스터 + 리드 Q5 출력 트랜지스터 (드라이버 보드의 단자 # 16)의 에미터에 테스터 - 리드 바이어스를 약 15mV (0.015V)로 측정되도록 R851 미세하게 조절 출력단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50mA가 될 것임 앰프 동작온도에 따라 바이어스 값은 변동되며 시간을 두고 여러차례 조정을 해 주는 것이 좋음 추1) 첨부된 회로는 R 채널 도면이지만 Rev 버전이 다른 회로임 ma6200 앰프의 회로가 3~4개가 존재한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