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as ADJ 방법 Q4 출력 트랜지스터 (드라이버 보드의 단자 # 15)의 에미터에 테스터 + 리드 Q5 출력 트랜지스터 (드라이버 보드의 단자 # 16)의 에미터에 테스터 - 리드 바이어스를 약 15mV (0.015V)로 측정되도록 R851 미세하게 조절 출력단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50mA가 될 것임 앰프 동작온도에 따라 바이어스 값은 변동되며 시간을 두고 여러차례 조정을 해 주는 것이 좋음 추1) 첨부된 회로는 R 채널 도면이지만 Rev 버전이 다른 회로임 ma6200 앰프의 회로가 3~4개가 존재한다고 함.
위 회로는 오리지널 회로로 AC110V 사용!!아래 회로는 AC220V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된 회로 위 사진은 Auto-On 보드 회로이며, 우측 상단의 C703, 10uF/160V ===> 10uF/400V~600V 콘덴서로 교체 R703, 820R 1W ===> 4.7K 2W 저항으로 교체 해야함,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로 개조할 경우(R703, 1.6K) 릴레이 양단에 걸리는 DC전압이 180V로(회로 우측상단 8번과 9번) 과도하게 높아지게 되므로 릴레이 수명이 급속히 단축됨, 릴레이 정격전압은 DCV100~110임 위 사진에서 보이는 보드가 Auto-On 보드임, 10uF/160V 콘덴서와, 820R 저항을 10uF/400V~600V, 4.7k 2W 저항으로 교체해야합니다.
중고나라 장터를 들락거리기가 귀잖아..."ma6200"을 알림에 등록해 놓고 게시물이 올라올때 마다 확인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매번 그렇게 알림이 울리 때 마다 게시물들을 보며 가격과 상태 등을 확인했다. 대부분 흐른 세월이 그대로 보일 정도의 모습등에 비슷비슷한 가격.... 그러던 2017년 크리스마스 이브 전날(23일) 일과를 끝내고, 컴터 앞에 앉아 음악을 들으며, 인터넷을 보고 있는데...아이폰에 뜬 ma6200 알림....평소와 다름없이 게시물을 찾아 들어가 보는 순간...이건 그동안 보아온 녀석들과 차원이 다른 컨디션에 가격도 저렴하다. 판매자의 말을 100% 신뢰할 수 없지만... 20년전 신품을 구입하여, 초기 잠깐 구동하고, 지금까지 자리만 차지하고 있었으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제품..